Biology) 항암제의 종류 (세대별 특징)과 치료 효과 평가 기준
항암제 종류
화학항암제
강한 독성으로 정상세포에 비해 빠르게 분화하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항암제. 세포 내 DNA에 직접 결합하거나 DNA 합성효소 등을 저해하는 작용기전을 가짐. 정상세포에 영향을 미쳐 골수 기능 저하, 탈모 등 부작용이 발생함.
ex) BMS 탁솔
표적항암제
1990년대 중반 이후, 정상 세포에 영향 없이 암세포의 특정 물질만을 표적하여 공격하는 항암제. 암세포 성장에 필요한 신호전달이나 단백질 조절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를 조절함. 화학항암제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으나, 내성 발생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음.
ex) 제넨텍 허셉틴
면역항암
암세포의 인체의 면역체계를 회피하는 신호전달과정을 저해하거나, 몸속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면역반응이 활성화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항암제. 면역체계 교란, 암세포 활성 증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며, 면역항암제에 대한 반응률이 낮음.
ex) MSD 키트루다
대사항암제
암세포 에너지 생성 경로를 억제하여 암의 에너지 대사를 차단하여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항암제. 부작용이 적으며, 돌연변이 상관없이 모든 암세포 공격이 가능함. 하지만 암세포의 회피기전이 발생할 수 있음.
ex) 아지오스 아이드하이파
항암제 치료 효과 평가
항암제를 투여하여 얼마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는 지표. 평가는 신체검진, 혈액검사, 엑스선 영상검사 (CT, MRI 등), 핵의학영상검사 (PET)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주로 RECIST v1.1 에 따라 평가함.
RECIST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 Solid Tumors) v1.1
암 치료시 종양이 얼마나 반응하였는지 측정하는 기준
종양 축소, 유지, 증가를 기반으로 하며, CT는 기준점 연구 모달리티로 가장 많이 이용된다.
RECIST v1.1 에서는 병변을 표젹 병변과 비표적 병변으로 구분하여 평가함.
1. 표적 (target) 병변과 비표적 (non-target) 병변
- 표적병변 (Target lesion)
- 영상 검사나 임상검사로 정확하게 반복 측정이 가능한 병변
- 계측 병변의 장경 (longest diameter)를 기준으로 함 - 비표적 병변
- 측정이 불가능한 병변을 포함하여 병변 이외의 나머지 병변 ex) 복수, 흉수, 뼈병변 등
2. 반응 평가 기준
- 표적 병변 평가
- 완전 관해 (complete response, CR): 모든 표적 병변의 소실
- 부분 관해 (partial response, PR): 모든 표적 병변의 장경의 합이 기본 검사에서의 합을 기준으로 30% 이상 감소
- 진행 병변 (progressive disease, PD): 모든 표적 병변의 장경의 합이 치료 시작 후 기록된 가장 작은 장경의 합을 기준으로 20% 이상 즈가하거나 한 개 이상의 새로운 병변이 발생한 경우
- 안정 병변 (stable diseas, SD): 모든 표적 병변의 장경의 합이 부분 과해 기준과 진행 병변의 기준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 - 비표적 병변 평가
- 완전 관해 (complete response, CR): 모든 비표적 병변의 소실. 종양 표지자 수치의 정상화
- 비완전 관해/비진행 병변 (non-CR/non-PD): 한 개 이상의 비표적 병변이 존재하거나, 종양 표지자 수치가 정상 이상 유지
- 진행 병변 (progressive disease, PD): 비표적 병변이 분명히 진행된 상태이거나 한 개 이상의 새로운 비표적 병변이 나타나는 경우
> 참고문헌
국가암정보센터
Radiology Asistant